서론
4일차 pt.1 - 특강 시간이다.
참고로 pt.1은 특강 시간의 내용, pt.2는 강의 시간의 내용이다.
프로그래머스 데브코스에서 뭘 특강 할 것인지가 좀 궁금한데, 일단 듣자 하니 HTML과 관련된 특강이라고 한다. 아마 HTML 강의가 끝나면서 하는 모양이다. 그래도 지금까지 배운 걸 실전형에 맞춘다는 걸 보면 꽤 흥미로워 보인다. 프로그래머스 측에서 제공해주는 약간 꿀팁 위주의 강의로 보인다.
특강을 진행하시는 분은, 프로그래머스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데브코스(프로그래머스 클라우딩 웹앱 데브코스) 강사를 맡고 계신 김태영 강사님이다.
이번 일차는 HTML 특강 및 CSS이다.
스크린샷을 보며 화면 설계하기
- body 태그 내부에 main, header, nav, div, section을 사용함으로써 설계.
- 수치적인 정보 제공 목적으로 dt, dd는 잘 사용 안 함.
- 최상단 제목이 h1 태그.
- 그 아래의 섹션의 제목들은 h2 이하의 태그들이 달린다.
- 검색창은 form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검색엔진이나 접근성 기기들이 구분을 잘할 수 있다. 당연하게도 검색 버튼은 버튼 태그의 submit 타입이 좋다. - footer에도 h 태그가 들어가야 한다. 즉, 사측 로고 같은 곳에 들어가는 것 같다.
- 태그 입력/표시 공간에는 aside를 사용해도 된다.
문서화 구조가 뭘까?
- h 태그가 포함된 내용은 대체로 아티클이다.
- 사이드에 있는 바는 aside 태그를 사용한다.
- 이러한 aside에는 필연적으로 카테고리 목록이나 메뉴 목록 같은 것이 나온다.
- 해당 목록을 묶어서 나타내는 최상위 표시는 h 태그를 달아주는 것이 좋다.
- 크롬 확장프로그램, 'HTML outliner'를 사용하면 페이지의 구조 개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.
다르게 말하자면 내가 만든 페이지가 SEO에 적합한 구조인지 파악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. - 실무에서도 실수하는 점인데, h 태그가 낮아질수록 작아지니까 이를 이용해 작은 글자라고 낮은 h 태그를 다는 경우가 있다.
즉, h1->h2->h3...의 순서를 무시하고, 글자 크기 기준만으로 판단해서 h1->h2->h5 같은 실수를 하는 경우가 있다.
이런 경우 검색 엔진의 순위로 작용하는 SEO 점수에서 손해를 보게 된다. - 제목을 나타낼 때 h 태그 대신 strong 태그를 사용할 수도 있다.
어쨌거나 속성을 조절하면 비슷하게 구현 가능하고, strong에도 강조 표현이 달려 있기 때문이다. - 개발자 도구의 Lighthouse나, 별도의 툴을 사용하면 SEO 점수를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.
- section 태그는 구역을 나누는 태그. (비슷한 거로 div가 있는데, 별 의미가 없음.)
div와 다르게 h 태그를 가져야 함. - article 태그는 독립적인 내용을 나누는 태그.
div와 다르게 h 태그를 마찬가지로 가져야 함. - article이 신문 내의 자잘한 기사(기사 제목, 기자 이름, 기자 이메일 등)를 뜻하면, section은 주제별 기사를 모아둔 영역을 뜻한다.
알아주면 좋은 것
- 디비티스(divitis)를 조심하자.
디비티스는 초보 개발자들이 div를 너무 많이 쓰는 것을 뜻한다.
div를 많이 쓰는 건 좋지 않다. 애당초 의미도 없고 구분용 태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. - 젠코딩(zencoding) 기법은 유용하다.
HTML&CSS를 빠르게 만들고 스타일링할 수 있게 해주는 기법이다.
빠르게 프로토 타이핑할 수 있다. 물론 가독성을 그리 좋지 않다. - MDN 사이트는 신이고 무적이다.
그리드 부분이 특히 많이 헷갈리는데 그리드 항목을 많이 보도록 하자. - 추천 확장 프로그램
HTML5 Outliner
Perfect Pixel
Wappalyzer - CSS 공부 사이트
Flexbox Froggy
사족
내용도 다수 빼먹고, 이런저런 걸 요약하기는 했지만, 대략적으로는 저런 내용들이었던 거로 기억하고 있다. 추후 까먹거나 놓친 중요 부분이 있다면 따로 보강하던지 하겠다.
그리고 이걸 제외하면 이번 화의 사족은 없다. 본격적인 서론과 사족은 pt.2에 적도록 하겠다.
'💻 종합 개발 주제 > 📚 웹앱 데브코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일차 데브코스 pt.1 -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(2) | 2023.12.23 |
---|---|
4일차 데브코스 pt.2 -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(2) | 2023.12.22 |
3일차 데브코스 -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(2) | 2023.12.21 |
2일차 데브코스 -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(2) | 2023.12.20 |
1일차 데브코스 - 클라우딩 어플리케이션 엔지니어링 TIL (2) | 2023.12.19 |